옛날 부모님들이 성공하려면 공부해야 한다. 공부해야 한다. 이렇게 말씀하셨죠. 맞는 말입니다. 개천에서 용나는 방법은 공부밖에 없습니다. 이 공부가 학교에서 말하는 공부만을 의미하진 않습니다. 큰 틀에서 배움이라는 것이죠.
배움은 성공의 사다리이다.
배움은 성공의 사다리입니다. 그러면 어떻게 배워야 할까요? 여유가 된다면 수십만원짜라 명강의를 들어도 되지만 그렇지 못한 상황에서는 독서가 배움을 줄 수 있습니다. 어떤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우리 인생의 치트키는 독서다
느낌이 오시나요?
게임을 하다 보면 공략법이라는 게 있습니다. 단계마다 공략방법이 있습니다. 이 공략집을 살펴보고 해보면 그 단계를 마무리하고 다음 단계로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러면 우리 인생에도 공략법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독서라는 것이죠.
게임만 하다가 사회생활을 하려니 적응이 안됩니다. 그래서 사람과 잘 지내고 사람과 대화하는 방법에 대한 책을 읽고 그대로 따라 했다고 합니다. 그랬더니 거짓말처럼 사람들과의 관계가 좋아졌다고 합니다. 그래서 독서의 삼매경에 빠졌고 이제는 사업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는 이 말에 한 대 얻어 맞은 것 같았습니다.
독서가 우리 인생에 치트키였다니.....
그래서 다른 사례가 없나 찾아봤습니다. 그랬더니 백없고 돈없는 사람들이 성공할 수 있는 방법은 독서밖에 없다는 사람들의 사례가 많았습니다. 아 나는 멍청하게 살았습니다. 배움도 없는 삶을 살았습니다.
다음의 내용은 독서로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모아서 각색한 내용들입니다. 저도 이제 독서로 제 삶을 바꿔보려합니다.
여러분도 같이 독서와 성공의 길로 함께 하시죠!
그러면 책에 대해서 생각을 해봐야겠지요?
책 한 권을 발행하려면 그 저자는 얼마나 많은 자료를 수집하고 그 책을 썼을까요? 수 십번, 수 백번 탈고하는 작업을 거쳤을 것이며 충실하게 내용을 작성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이 들어갔는지 가늠도 가지 않습니다.
독서를 많이 했지만 내 삶이 달라지지 않았다라는 분들이 계실 겁니다. 그 분들은 독서만 했습니다. 독서를 통해 얻은 지식을 그냥 지식으로만 간직했던지 그 때만 "아~~"하고 말았던지 이 두가지 중에 하나입니다. 행하지 않았습니다.
독서=통찰력
독서는 실행해야 합니다. 독서 후에 얻은 지식은 꼼꼼히 메모해 두거나 다시 책을 읽었을 때 알 수 있도록 밑줄을 긋는다든지 해서 완전히 내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자 여러분! 그러면 어떤 책을 읽어야 할까요?
책은 먼저 관심있는 분야 중에서 골라야 합니다. 관심도는 독서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입니다. 내가 지금 무엇에 관심이 있는지 아셔야겠죠? 그러면 서점으로 달려가십시오. 일단 그 관심 영역에 어떤 책들이 베스트 셀러인지 보십시오. 그 다음 서점에서 한 번 그 책들을 읽어보는 겁니다. 술술 잘 읽히는 책이 있다면 그 책은 여러분과 맞는 다는 것입니다.
독해력인데요. 아무리 좋은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이여도 읽는 사람이 무슨 말을 하는지 모른다면 의미가 없겠죠? 나의 독해력 수준에 맞는 책을 찾고 찾으십시오. 그렇게 그 분야에 책 5권 정도 삽니다. 중고책으로 사셔도 무방합니다. 도서관에서 대여해서 볼 수도 있습니다만 되도록 사십시오. 그래서 그 책 5권을 계속 번갈아 읽어보십시오.
중요한 내용은 밑줄을 그어가며 또 메모해가면서 읽어보십시오. 정독하십시오. 빠르게 읽으려고 하지 마시고 얻어가려고 하십시오. 책은 한 권이라도 한 번 읽었을 때와 두 번, 세 번 읽었을 때 다가오는 느낌이 다릅니다. 5권의 책을 한 번 읽었다고 해서 끝낼 것이 아니라 여러번 읽으십시오.
그렇게 독서를 하다 보면 그 분야에 통찰력이 생기게 됩니다. 통찰력이 생기기 시작했다면 세상이 다르게 보입니다. 그 통찰력으로 세상을 자기 것으로 만드십시오.
독서=통찰력=실행
통찰력이 생기셨다면 그 통찰력으로 무언가를 해보십시오.
물론 처음 생긴 통찰력으로 무엇을 한다고 해서 반드시 성공하리란 보장은 없습니다. 통찰력이 반쪽짜리 일 수도 있고 본인은 못 느끼지만 부족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면 그 분야의 책을 더 읽어보십시오. 반드시 성공합니다.
여기까지 독서로 성공한 사람들의 조언이였습니다.
저는 망치로 머리를 얻어맞은 것 같은 느낌이였습니다. 아~~~ 내가 인생을 헛살았구나....
저는 이제부터라도 독서를 시작해야 겠습니다.
같이 독서를 시작하시죠~ 아니 성공의 지름길을 같이 가시죠~!
'자기 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생활 이렇게 하면 된다. 10가지 직장생활 노하우 (9) | 2023.08.15 |
---|---|
죽음에 대해 뇌과학이 밝혀낸 사실들 (31) | 2023.07.26 |
(동기부여)죽음과 선택하는 삶 (4) | 2023.07.24 |
(대화의 기술) 티키타카가 되는 대화 하는 방법 (1) | 2023.07.23 |
(대화의 기술) 기분좋게 말하는 방법 (0)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