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트셀러
내 안에 잠든 거인을 깨워라
저자 토니 로빈스는 새로운 삶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다음 세 가지 조언을 한다.

첫째, 의문하지 말고 질문하세요.
의문과 질문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의문은 여러분을 부정적인 감정에 몰두하게 합니다. 나는 왜 이것밖에 안 될까 왜 계속 불행한 일만 일어날까 이렇게 살 수밖에 없는 걸까 내가 해낼 수 있을까? 이것들은 질문이 아니라 의문이죠. "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스스로에 대해 그리고 자신이 가진 능력에 대해 의심하는 사람들은 어떤 것도 제대로 할 수 없습니다. "

"평생 의문만 던지다 끝나죠. 제가 낼슨 만델라에게 이렇게 물었던 적이 있어요. 어떻게 감옥에서 긴 세월을 견딜 수 있었습니까? "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했죠. 난 견뎌냈던 적이 없다오 준비하고 있었던 거지 그는 제 의문을 훌륭한 질문으로 바꿔 놓았어요. 제 삶 자체를 바꿔 놓았죠 의문은 삶의 수준을 결정하고 질문은 삶 자체를 바꿉니다. 의문하지 말고 질문하세요. 여러분의 삶이 달라질 겁니다. "
의문: 그게 가능한 일이야?
질문: 그걸 가능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의문과 질문의 차이점을 명확히 알아야 질문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두루뭉실한 차이점 말고요.
제 생각에는 의문은 결과에 초점을 맞춘 물음표이고 질문은 과정에 초점을 맞춘 물음표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면 가능여부 보다 가능한 방법들을 떠올려야 하는 게 성공의 지름길인 것 같습니다.

둘째, 위대한 사람을 직접 찾아가세요.
"워렌 버핏에게 가장 위대했던 투자가 무엇이었는지 물은 적이 있습니다. 그는 20살 때 들었던 데일 카네기의 공개 연설이라고 했죠."
"덕분에 사람들 앞에 서는 두려움을 고칠 수 있었다고 합니다. 의문을 훌륭한 질문으로 바꿀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위대한 사람을 직접 만나서 배우는 것입니다."

"그 사람의 책 글도 도움이 되지만 직접 만날 수 있는 기회를 잡는다면 상상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죠. 사람들이 돈이 많아서 천문학적인 금액을 쓰며 워렌버핏과 점심을 먹는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질문으로 바꿔야 할 의문을 갖고 있기 때문에 워렌 버핏에게 투자하는 거죠."
"그러니 성장하고 싶다면 성공하고 싶다면 직접 위대한 사람을 찾아가세요. 내 안에 잠든 거인을 깨우세요. 자신의 두려움과 불안이 무엇인지 떠올려 보세요."

위대한 사람을 찾아가서 만난다는 조언은 현실적이지가 않습니다. 그리고 위대한 사람을 만난다 하더라도 내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그게 무슨 소용이 있을까 생각합니다.
위대한 사람을 만나기 위해서는 그 사람들이 쓴 책이나 글들을 먼저 접하고 그 곳에서 영감과 질문들을 무수히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아무래도 독서가 답인 듯 싶습니다.

셋째, 문제를 단순화하세요.
"내가 갖고 있는 부정적인 감정과 문제의 대부분은 아침을 좀 더 빨리 먹거나 가볍게 운동을 하거나 잠을 조금 더 자면 해결될 문제가 아닌가 그렇다고 판단이 되면 이런 문제들에 대해 고민하느라 시간을 허비하지 마시고, 어떻게 하면 문제를 단순화할 수 있을지 고민하세요."
문제를 단순화하는 것은 문제 해결을 위해서 가장 빠른 해결책인 것 같습니다. 문제를 단순화 했으면 바로 실행해야 하는데 그 또한 어려움이 따르겠죠.

문제 단순화 다음은 액션입니다. 단순화된 해결책을 가지고 액션까지 이어지지 않는다면 당신은 성공할 이유가 없습니다.
내가 가진 문제에 해답은 문제에 있습니다. 문제를 다시 들여다 보십시오

.
'자기 조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묻지마 범죄 예방방법 3가지, 대처하는 방법 3가지만 기억하세요. (18) | 2023.08.20 |
---|---|
자존감을 높이는 방법 (18) | 2023.08.07 |
상사앞에서 긴장하지 않는 방법, 1가지 (24) | 2023.07.29 |
불안한 한국인, 불안을 다스리는 방법 (18) | 2023.07.25 |
(동기부여) 5초의 법칙, 5초내에 행동하라 (0) | 2023.07.20 |